Surprise Me!

[아는기자]전국 곳곳 비 피해…인명피해는?

2023-07-15 98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사회1부 최주현 기자와 오늘 비 피해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 <br> <br>앞서 소식들 보셨지만 오늘 하루만에 발생한 피해라고 믿기 어렵습니다. <br> <br>피해 양상이나 지역이나 모두 다양해요? <br> <br>A1. 비 피해, 그것도 오늘 하루 발생한 피해라고 하기에는 믿기 어렵습니다. <br> <br>지금 현재 심각한 피해가 우려되는 곳은 청주시 오송읍입니다. <br><br>궁평 2지하차도가 물에 잠기면서 지금까지 1명이 숨지고 8명이 부상을 입은 걸로 공식 확인됐는데요.<br><br>소방당국은 물 속에 최소 19명이 고립돼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소방 당국은 침수 발생 당시 도로관리사업소 CCTV 등을 분석한 결과, 오송방향에서 차량 11대가 그리고 반대방향에서 차량 8대가 지하차도에 진입한 걸로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Q2. 차량이 지하차도로 진입한 걸 보면 순식간에 물이 차오른 것 같은데 어떻게 이럴 수 있죠? <br><br>A2. 네 인근 미호천의 제방이 유실되면서 하천의 물이 범람했는데요, 50미터 구간의 둑이 한꺼번에 무너지면서 지대가 낮은 지하차도를 순식간에 채운 걸로 추정됩니다. <br><br>영상을 보시면요 지하차도 뿐 아니라 옆 도로까지도 흙탕물에 잠겨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<br> <br>미호천이 불과 500여m 거리에 있는데다 주변이 평지여서 빼낸 물이 다시 유입되고 있어 배수 작업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. <br> <br>Q3. 정확한 피해 인원은 여전히 확인이 안된다는거죠? <br><br>A3. 소방당국이 정확하게 확인중에 있습니다.<br><br>워낙 흙탕물이다 보니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 잠수부도 투입하지 못해 파악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. <br> <br>이 지하차도의 길이는 700m가 조금 넘는 규모 거든요. <br><br>앞서 소방당국의 설명처럼 앞뒤로 차량들이 있는 경우 한꺼번에 많은 물이 차오를 경우, 차량들이 지하도를 빠져나가기는 쉽지 않다는게 전문가 설명입니다. <br> <br>지난 2020년 7월 부산에서도 집중호우로 차량들이 원활하게 이동을 하지 못했는데요. <br><br>당시 차량 6대가 잠겨 3명이 숨지고 4명이 부상을 입었습니다. <br><br>Q4. 그런데 이번엔 유독 산사태 피해가 크죠? <br><br>A4. 가장 인명 피해가 큰 곳은 경상북도 권역입니다.  <br><br>예천과 문경, 영주 봉화 등에서 크고 작은 산사태 혹은 토사 유실로 16명이 숨지고 9명은 여전히 실종 상태입니다. <br><br>오늘 인명 피해가 발생했던 경북 예천 지역을 보면 급경사나 침수 취약 시설과 인접하지 않고 있거든요. <br> <br>정부가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별로 인명 피해 우려지역을 선별 관리합니다. <br><br>산사태, 댐, 경사지, 여가시설 인근 정도 등에 따라 분류하는데요. <br><br>경북도청 관계자에게 직접 물어보니 오늘 인명피해가 발생한 장소는 대부분 이 인명피해 우려지역이 아니여서 대비도 어려웠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Q5. 지자체나 정부나 인명피해 예상지역으로 관리·감독도 못한 지역인데 발생 원인이 뭡니까? <br> <br>A5. 전문가들은 며칠째 오다 가다를 반복했던 비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분석합니다. <br><br>[임상준 /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교수] <br>"장마로 인해서 이미 땅이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 있습니다. 실제로 흙이라고 하는 것이 지탱할 수 있는 힘이 이미 한계에 도달한 상태이고 그런 상태에서 사면이 붕괴된다든지 특히 경사가 급한 곳을 중심으로 흙이 무너져 내리는 그런 산사태가 발생하고 있다고 그렇게 판단됩니다." <br> <br>제가 스튜디오에 오기 전에 확인해보니 경북 지역은 지난 2주동안 4일을 제외하고 모두 비가 왔습니다. <br> <br>전문가 의견대로라면 비가 여러날 오면서 토양 자체가 물을 많이 머금은 굉장히 약한 상태였습니다. <br><br>그런데 많은 비가 쏟아지다보니 지반 구조 자체가 붕괴된 겁니다. <br> <br>뉴스A에서는 이번주 내내 산사태 관련 뉴스를 전해드리고 있는데요.<br><br>바람이 불지 않는데 나무가 흔들리거나 나무가 평소보다 크게 기울였다면 산사태 가능성을 의심해야 합니다. <br> <br>경사면에서 물이 솟아도 긴장해야 합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사회1부 최주현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최주현 기자 choigo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